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우에에엥 주소 잘못 적어서OTL
  • 작성자 @.@
  • 작성일 2006.03.22
  • 문의구분 서비스 및 비용 문의

어제부터!
색깔은 계란 껍질색과 쌀색 사이.. 길이는 쌀알보다 조금 길거나 비슷한 정도.. 두께(?)는 쌀알의 절반의절반 정도쯤 되는

..애벌레..라고 짐작되는 벌레가..
쌀을 씻는데.. 쌀들 속에서 나와요..

어제는 두 마리..
오늘은 네 마리.....

..이 추세가 기하급수적인 추세라면 전 내일부터 밥 안먹고 빵먹어야겠심댜(그래도 쌀은 씻어야겠지만OTL)
덕분(?)에 쌀씻는 데 드는 시간은 두 배나 더 들게 되고OTL..


한두어달정도 집안일을 하고 있는데 이런 벌레를 목격한건 어제가 처음입니다. 어제는 그냥 운이 없으려니 했는데OTL
참고로 이미 죽은 건지 움직이진 않아요. (쌀씻는데는 물 받으니까) 물먹어서 죽은걸까요 아니면 ..아아악..
쌀씻을 때마다 저의 히스테릭한 비명소리가 온 부엌을 울립니다..T^T

도데체 이 벌레가 뭐시깽인지!
어떻게하면 없앨 수 있는지!
안심하고 쌀씻고 밥 먹고 싶어요 도와주세요..TㅍT


참고로 주거지역은 도시고, 쌀은 쌀통에서 쓰고 있어요. 할머님께서 찹쌀은 따로 바구니-_-에 담아서 쌀통 옆(그러니까 실외의 지역..이지요..)에 두시고 계시고..OTL...

최선을 다하는 세스코 입니다.

집에서 발견되는 해충은 저곡해충입니다. 화랑곡나방과 애벌레 이군요.

쌀벌레는 보관중인 곡식류에서 발생하는 저곡해충 중의 하나입니다.

쌀벌레를 없애기 위해서는 해충의 서식환경을 파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곡식류는 소포장하여 냉장고에 보관하시구, 이미 저곡해충이 발생된 곡식류가 있다면 과감하게 버리시는 게 좋습니다.

곡식의 양이 많아 버리기 아깝다면 곡식을 빨리 처리할 수 있도록 떡을 해서 드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 이런 저곡해충들은 보관중인 곡식뿐 아니라
건강베게로 일컬어지는 수수베게, 메밀베게 등 곡식을 이용한 베게 등을 통해서도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쌀벌레들이 주로 어디서 발생되는지 잘 한번 살펴 보시고 적극적인 청소와 환경 관리를 시행하면 꼭 없앨 수 있을 것입니다.

봄바람이 부네요. ^^ 감기 조심 하시고,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답변일 2006.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