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집으로 이사오면서...정말 심각한 고민에 빠졌습니다.
집의 바로 뒤가 산인데다가. 주인집에서 이것 저것 집 주변에
너무 많이 심어놔서...슬슬 따듯해지기 시작하니..
벌레들이 들 끌고 있습니다.깨끗이 청소하면 없어진다라고 해서.늘 청소를 했으나.이제는 청소하는 중간에 그 망할 놈의 돈벌레가 나올까봐 무서워서
청소도 못하겠습니다.가장 큰 문제는 바퀴와 돈벌레인데요.바퀴보다.돈벌레때문에 미칠지경입니다.크기도 점점 큰 것이 나오는데..지네인가 의심도 갑니다...살충제를 뿌리면 마구 꿈틀거리다가 금방 죽기는 하는데.
잡지도 못하겠고. 서식지를 찾아서 없에야 한다는데
그럴 자신도 없습니다.이젠 벌레가 들어올까봐 문도 마음대로 못 열겠고. 거기다...이제는 잠도 못자겠습니다.
해서 문의 드리는데요.저의 집이 작은 방 2개에. 거실이라고 부르기 뭐한 참 작은 거실이 하나.있는 작은 집인데...이것들 퇴치하려면...얼마 정도 드나요?그리고 만약..집과 주변의 환경상.(습함) 없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나요?또 그렇다면. 정말 이 녀석들 안보고 살 방법은 없나요?
전.....지금 반수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인데.....도저히 책상에 앉아있지도 못하겠습니다.
최선을 다하는 세스코 입니다.
그리마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충의 서식처를 찾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그리마는 습기가 많고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서식을 합니다. (주변의 돌밑. 낙엽 쌓아놓은 곳, 벽 틈새, 다용도실, 베란다 등) 서식처 제거가 우선되어야지 나오는 놈들만 약을 뿌린다고 해서 문제 해결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습니다.
가정집에서 발생가능한 장소는
1. 화장실 변기틈새, 벽면틈새, 출입문 턱 틈새 등
2. 오래된 화분 밑
3. 방치해 놓은 물건하단부
4. 오래된 씽크대 틈새
5. 배수로 틈새 등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화장실이 주요 서식처입니다.
깨끗히 청소한 후 타일 틈새 또는 변기 틈새에 실리콘이나 백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막는 작업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은 무초산 실리콘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초산형은 산성 + 콘크리트는(알카리성) = 응집반응(각각 일어남)이 일어납니다.
(그리마는 세스코 산업체 서비스만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고, 늘~ 행복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