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
요즘에 저희 집에 벌레가 많이 기어다니고 있습니다.
전에있던 나방같은것은 다 없어졌는데;
아 요번에는 나뭇잎에서 하얀벌레(진드기는아니에요)
가 기어다니지를 않나
작은나무에서는 달팽이가 서식하고 있고
음음 정말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몇일전에는 열려져있는문을 통해
바퀴대왕한마리가 침투했는데
무서워서 잡지도 못했습니다!!
그자식이 피아노밑에서 기어다녔는데
사라져서는 3일전에 다시 김치 냉장고 밑으로 기어가는걸 목격했지만
막 책을던지면
그속에 있는알이 터져서
집곳곳으로 퍼진다기에 잡지도 못했습니다. ㅜ.ㅜ
그리고 우리집에는 불개미가 서식하는데 (윽)
바퀴벌레나 달팽이 하얀벌레 등과 같이 공존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잡는방법도 가르켜주세요^.^
대답해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겠씁니다.!!!!!!!!!11
1. 화분에서 보인것은 응애 입니다.
진딧물은 주로 허약한 화초에 주로 꾀는데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새로 나온 화초의 새싹에 꾀여 화초의 수액을 빨아먹어 생장에 장애를 주는데 대개 연두색을 띠지만 노란색,갈색,붉은색, 검은은색등 색이 다양합니다
숫자가 많지 않으면 손으로 잡거나(시골 출신이시면)
퐁퐁을 떨어뜨린 비눗물로 분무후 화분채로 (화분에 물을 준다음)
비닐 봉지로 싸서 완전히 밀폐시켜 둔 다음 2-3일 후에 샤워시키세요
* 종종 담배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어나 비흡연자일 경우 역한 냄새로좋지 않으며 우유나 설탕물은 좋지 않습니다
차라리 마늘을 화분위에 올려 놓으세요
* 심하면 살충제를 치시는게 좋은데 요즘은 1회용 포장(동부 한농화학-코니도-500-700원)도 나오니 1:1000으로 희석해서 1주일 간격으로 2번 정도 살포하세요
2. 모든 달팽이가 집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개중에는 무거워서 집을 안가지고 다니는 종류가 있습니다.
이런 달팽이들을 민달팽이라고 하죠.
달팽이류가 다 그렇듯이 머리에 2쌍의 더듬이가 뿔처럼 나 있어 자유로이 내밀기도 하고 감추기도 하는데 뒤의 것이 앞의 것보다 길며 뒤쪽의 더듬이에 눈이 있습니다.
낮에는 돌 밑이나 흙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나와
식물의 잎에 올라가 먹을 부분을 타액으로 축인 후 단단한 위턱으로 물어서 갉아먹는다.
꽃이나 나무를 집에서 키우고 있다면 잎을 갉아 먹어서 문제가 되겠지만… 달팽이가 있다는 것은 그만틈 청정환경에서 살고 계신 겁니다.
간혹 하수구를 통하여 들어오기도 합니다. 이럴때는 락스 원액 또는 뜨거운 물을 주기적으로 부어 주셔서 막아 주시면 됩니다.
3. 개미는 그 생태적 특성상(특히, 애집개미) 한 군체에서 예를 들어 100마리의 일개미가 살충제로 죽었다면 그 군체를 거느린 여왕개미가 자동으로(?) 100마리를 더 생산해내서 군체의 규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니, 살충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해충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살충제를 뿌려도 계속 생기는 이유를 이제는 아셨을 것입니다.
그러니, 일단 해충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시는 것이 최선이고요.
발생하였을 때는 전문가를 부르는 것이 완전박멸을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
만약 집에 있는 개미가 가장 일반적인 가주성 개미인 애집개미(작고 붉은 빛의 개미)라면 일반 살충제로 방제가 힘이 듭니다.
야외성 개미의 여왕개미가 1마리인 것에 비해 애집개미는 여왕개미가 수십에서 수백마리 이기 때문 입니다.
또한 개미는 굴 밖에서 생활하는 숫자가 전체의 10%도 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활동하는 일개미만 약제를 사용해 죽인다고 개미문제가 해결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에어졸로는 개미를 잡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합니다.
따라서 개미가 보인다면 언제든지 전화 주세요.
저희가 달려가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서비스 신청및 좀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시면 고객센터 1588-1119 또는 온라인으로 올려주시면 성심껏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비가 많이 왔는데 피해는 없으신지요.
늘~ 좋은 일만 있으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