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베란다에 벌레때문에요
  • 작성자 이정석
  • 작성일 2006.07.19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수고하십니다

제가 진짜 벌레 역겨워하고 그래가지고 문의좀 드릴려구요

베란다에 흰 포대에 검은쌀인가...그게 담겨져있떠라구요
열어보니깐...구더기같은게 꿈틀거리는데..길이는 1cm정도되는데
이게 무슨 벌레의 애벌레일까요?
그리고 그 포대의 겉부분이나 안쪽 벽면에..
길이는 1.2cm정도되는 쌀볍시같이생긴거에 겉에 약간의 실부푸레기같은게 엉커져있구요..
이게 그 애벌레인가요?

정말 보기 역겨워가지고..
어머니는 무슨 쌀벌레라는데..쌀벌레알이 이렇게 크고 애벌레도 크나요?
두번째 질문한게 번데기인지 알인지는 모르겠는데

그리고 깨같이 생긴건...초파리 알이자나요
그럼 이게 알(깨)->유충(애벌레)->번데기-> 초파리 될텐데
집에 초파리는 많은데...깨같은 알도 많구요..
근데 그 초파리의 에벌래랑 번데기는 본적이 없느데(초파리와 알이 작기땜시)
첨에 질문한게 혹시 그 벌레 애벌레랑 번데기일까요?

아님 파리?

파리 애벌레(구더기) 좀더 굵은거같은데
저 에벌레는 좀 길면서 가늘던데..

제발 위에 질문들좀 답변좀 부탁드릴게요

전 저런거보면 우욱..역겨워가지고..

글이 좀 복잡하죠?
수고스럽더라도 답변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물어볼때는 세스코밖에 없내요 ^^

고객님댁에서 쌀에서 발견되는 해충은 저곡해충 입니다. 화랑곡나방과 애벌레 이군요.

쌀벌레는 보관중인 곡식류에서 발생하는 저곡해충 중의 하나입니다.

쌀벌레를 없애기 위해서는 해충의 서식환경을 파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곡식류는 소포장하여 냉장고에 보관 하시고, 이미 저곡해충이 발생된 곡식류가 있다면 과감하게 버리시는 게 좋습니다.

곡식의 양이 많아 버리기 아깝다면 곡식을 빨리 처리할 수 있도록 떡을 해서 드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 이런 저곡해충 들은 보관중인 곡식뿐 아니라
건강베게로 일컬어지는 수수베게, 메밀베게 등 곡식을 이용한 베게 등을 통해서도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쌀벌레들이 주로 어디서 발생되는지 잘 한번 살펴 보시고 적극적인 청소와 환경 관리를 시행하면 꼭 없앨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초파리는 주로 과실에 알을 낳습니다. 포도를 씻지 않고 방치하면 초파리의 알이 많아 얼마후 유충과 성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일파리라고 불리우는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과일에 농약이 없다는 증거가 되겠죠. 농약이든 파리알 이든 먹게 되니 흐르는 물에 잘 씻어 드셔야 합니다.

이외에도 낙엽이 모여있는 곳이나 나무 아래 부분에도 알을 낳습니다.

먹고남은 과일껍질등은 발생 즉시 비닐봉지로 완전히 밀봉하여 버려야 합니다.

발생 즉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면 더욱 좋구요.

초파리가 한 두마리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그냥 방치할 경우

초파리등이 냉장고나 싱크대 밑 등

유기물이 장기간 방치되어 있는 곳에 찾아 들어가

서식처로 삼으며 계속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깔끔한 과일, 음식물 관리를 실천하면

초파리 없는 행복한 세상이 됩니다. ^^.

따라서 보이는 파리나 알(깨같이 생긴것)을 제거해 주시고, 음식 쓰레기등을 바로바로 밖으로 처리해 주신다면 점차 없어질 것입니다.

비가 많이 왔는데 피해는 없으신지요.

늘~ 좋은 일만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답변일 2006.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