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우리집에 자꾸 나타나는 벌레에 대한건데요.
  • 작성자 가스멀...
  • 작성일 2006.08.04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그 놈의 벌레는 길이가 2~3cm 정도 되는듯 하구요.

길죽합니다. 검은색이고,지네 처럼 생겼습니다.

더듬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아침에 인나보면 맨날 거실에 뽈뽈거리며 돌아다닙니다.

문제는, 이놈이 왜 나타나는지 입니다.

우리집은 산중턱에 있습니다. 저희가 살고 있는집은 오래된 집이라서

개조하고, 고치고 해서 살고 있는집입니다.

(참고로 ㄱ자 형입니다.)

뒤에는 산이고, 앞에는 마당, 옆에는 텃밭이 있고, 텃밭위에

개집이 있습니다. 그리고 비가 오면 물을 받는 물통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주 습기가 차는거 같습니다. 사실 같은게 아니라 습기가

눌러 살고 있습니다. 아침에 나갔다가 저녁에 자러 오면 이불에 습기가 쩔

어있습니다. 그런이불을 덥고 잘때면 내가 이집에 살아야하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아참 내가 말하려는건 이게 아니구요. 그 벌레(우리집에서 노랭이라고 부름)가 습기가 많아서 나오는건가요?

그리고 그놈의 벌레좀 없앨 방법좀...

참고로 저희집은 많이 낡아서 틈새가 상당히 많습니다.

저번에는 쥐가 천장을 뚫고 다이빙 한 적도 있습니다.

다행이 그놈은 죽지않고 빠져나갔습니다만, 아마 저희아버지가 있었으면

그놈은 뼈도 남지않고 죽었을텐데.... 그러고보니.. 저희집에 쥐도 많은거 같네요...

최근 들어 저희집에 정을 붙이고 사는 들고양이가 있는데, 그놈이 쥐를 해결해 줄까요?

노래기 인듯 합니다.

지네처럼 생겼으며 다리가 많고 다리가 짧으면 "노래기"이고 다리가 길면 "그리마" 입니다.

노래기 라면 심한 악취를 느끼시지 않았을까 합니다.

이 녀석들은 몸 옆에 부분과 배판 측면에서 불쾌한 액체를 분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흙에 서식하며 성충은 4~5년의 수명을 갖습니다.
구제 방법은 서식처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집 근처에 수풀이 우거져 있다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식처는 대부분이 외부의 광범위한 지역으로 대체로 음습한 장소인 바위밑, 낙엽밑 등에서 서식하므로 서식처를 다 찾아내는 것은 무리입니다.

서식처를 찾아 제거하고 약제를 살포하여야 하지만 서식처가 광범위하다면 완전하게 구제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지속적으로 외곽에서 실내로 침입을 한다면

화학상에서 백반을 구입하시거나 농약상에 가면 토양살충제를 이용하여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침입하는 지역에 1~2m 간격으로 2~3줄 정도 뿌려 두시면 됩니다.



쥐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방제를 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쥐의 습성과 행동경향성, 종류파악등과 같은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현장에서 쥐의 먹이와 물 섭취장소, 노는장소, 서식처, 이동경로 파악, 주 침입로, 등… 이 같은 사항을 파악한 후 의사가 처방을 하는 것과 같이 이제 어떻게 쥐를 잡을 것인지 (끈끈이 설치는 어디에 또 약제는 어떤 것을, 침입로 차단은, 주 서식처를 어떻게 공략할 것인지 등..)를 구상하여 실행하게 됩니다.

일반인이 쥐를 완전히 구제하기는 거의 불가능 합니다.
먼저 실내에 쥐가 서식하고 있다면 쥐약과 쥐 끈끈이를 설치하여 실내 서식 쥐를 구제하고, 외부에서 실내로 침입할 수 있는 구멍을 막아야 합니다.

쥐약을 외곽에도 설치하여 외부에 서식하는 쥐도 구제 하여야만 실내로 침입하는 쥐의 숫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세스코 구제 서비스는 쥐가 실내에 서식하는 경우 2~3개월 이내에 100% 퇴치하여 드립니다.
하지만 쥐는 외부에서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실내에 침입하기 때문에(쥐는 번식력이뛰어나서 1쌍이 1년에 최대 1,250여 마리까지 번식이 가능합니다.) 초기에 관리를 받으셔야 합니다.

답변일 2006.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