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돈벌레..
  • 작성자 잠실4...
  • 작성일 2006.10.06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정확한 명칭이 돈벌레가 맞는지는 모르겠는데...

다리 많이 있고 송충이보다 좀 길게 징그럽게 생긴 벌레여..

이게 나오면 집에 돈이 들어온다고 해서..

징그럽긴 했어도 내심 돈에 반가워 하며 죽이진 않았거든요?!

(화장실변기에 물내려 버림 -_-a)

근데 자꾸 나오니깐 원인이 궁금하더라구여.

진쨔 신이내린 벌레인지 -_-

아님 집안 어딘가가 드러ㅂ ㅓ서 자꾸 나오는건지...

글고 왜 이름이 돈벌레가 되었나 알 수 있을까용? ^^


돈벌레라는 이름은 6.25당시 불리게 되였습니다.
물자가 귀하던 당시, 이 벌레가 주로 보인 장소는 부유층 집안 입니다.

외국 원조 물품에 반입이 되여 발생이 되고, 이런 벌레는 주로 부유한 집에서만 보였기 때문에 이 벌레가 보이면 돈이 붙는다는 설이 생기게 된 것이지요. ^^!

돈벌레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충의 서식처를 찾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돈벌레는 습기가 많고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서식을 합니다. (주변의 돌 밑. 낙엽 쌓아놓은 곳, 벽 틈새, 다용도실, 베란다 등) 서식처 제거가 우선되어야지 나오는 놈들만 약을 뿌린다고 해서 문제 해결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습니다.

가정집에서 발생 가능한 장소는
1. 화장실 변기틈새, 벽면틈새, 출입문 턱 틈새 등
2. 오래된 화분 밑
3. 방치해 놓은 물건 하단부
4. 오래된 씽크대 틈새
5. 배수로 틈새 등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화장실이 주요 서식처입니다.

깨끗하게 청소한 후 타일 틈새 또는 변기 틈새에 실리콘이나 백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막는 작업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은 무초산 실리콘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초산형은 산성 + 콘크리트는(알카리성) = 응집반응(각각 일어남)이 일어납니다.

설명 드린 곳을 잘 관리해 주시고, 보이는 벌레를 계속 잡아 주신다면 점차 없어질 것입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답변일 2006.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