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3층으로된 주택인데요,,
집이 오래되 것 같아요,,
제가 청소를 열심히 하는 성격이 아니라서 그런지 얼마전까지 조꼬만한 개미에 시달렸거든요...
근데 무슨 과립형약을 좀 놨떠니 없어졌어요
개미가 있을때부터 돈벌레라는 것이 보였었거든요...
올해들에 한번 본 것같아요.
근데 어제 새벽 2시쯤 방 벽을 사사삭 지나가는걸 목격했어요! ㅠ0ㅠ
그래서 홈키파를 막 뿌렸더니 죽더군요...
그리고선 안심하고 있었는데 오늘 한마리가 더 사사삭 지나가는 것을 꽁무니만 봤네요 ㅠ0ㅠ 소름 오백만개..;;;
집 어딘가에 서식하고 있는건가요???
벽도 타고 그러던데...
무서워서 죽겠어요...
제가 깨어있을 땐 괜찮은데 불끄고 잘때가 너무 걱정이 되네요...
그래서 그런데 밤에 불을 켜고 자면 기어다니는 것을 막을 수 있나요?
또 습기때문이라던데 그럼 보일러를 돌려보는 건 어떤가요?
돈벌레는 온도가 높은 곳을 좋아하나요?
서식지도 못 찾고 에어졸을 이용했는데도 계속 보이면 세스코불러야하나요?
지식인에 올릴려다가 그래도 전문가에게 묻는 게 나을 것 같아서요~
귀찮으시겠지만 좀 알려주세요~>_<
그리마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충의 서식처를 찾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그리마는 습기가 많고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서식을 합니다. (주변의 돌 밑. 낙엽 쌓아놓은 곳, 벽 틈새, 다용도실, 베란다 등) 서식처 제거가 우선되어야지 나오는 놈들만 약을 뿌린다고 해서 문제 해결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습니다.
가정집에서 발생 가능한 장소는
1. 화장실 변기틈새, 벽면틈새, 출입문 턱 틈새 등
2. 오래된 화분 밑
3. 방치해 놓은 물건 하단부
4. 오래된 씽크대 틈새
5. 배수로 틈새 등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화장실이 주요 서식처입니다.
깨끗하게 청소한 후 타일 틈새 또는 변기 틈새에 실리콘이나 백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막는 작업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은 무초산 실리콘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초산형은 산성 + 콘크리트는(알카리성) = 응집반응(각각 일어남)이 일어납니다.
설명 드린 곳을 잘 관리해 주시고, 보이는 벌레를 계속 잡아 주신다면 점차 없어질 것입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