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작은 나방같은 것이 돌아다니더니..그것의 애벌레 같은 것이 기어다니고...>_< 갈색의 번데기 껍질 같은 것도 가끔 보여요.
한번은 애벌레가 의자에 걸려있던 옷에도 나타나고 식탁 위에서도 나타나고..저는 그때마다 기겁을 하며 살충제를 뿌려댔지만...그 후로 어디서 또 나올까봐 매사를 유심히 살펴보게 되었어요;;;노이로제 걸릴 것 같아요...ㅠㅠ쌀벌레 같은 건가 싶었는데...제 방에는 먹을 것도 없는데 왜 나타나나 싶기도 하고..;;
그리고 제 방에 깨만한 갈색 딱딱한 벌레도 가끔 나와요..딱딱해서 휴지로 눌러서는 잘 죽지도 않고;;;
하도 작아서 카메라로 잘 안찍히네요...초점이 잘 안맞는다능;;;
무슨 벌레인지...세스코에서 박멸해주실 수 도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상단사진 속의 유충은 화랑곡나방 유충으로 사료되며, 하단사진 속의 곤충은 권연벌레 성충입니다.
두 종류가 한꺼번에 발생하기는 했지만 제어조치는 동일하니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되고요.
저장식품해충 종류의 가장 중요한 제어 원칙은
발원지를 찾아 제거하고 그 주변 틈새나 모서리 등지에 은신하고 있을 애벌레와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한다면
목격되는 성충이 점차 감소할 거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없어진다는 것이지요.
저장식품해충의 발원지를 예로 들면 쌀 등의 곡물류에서도 발생하지만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담배, 코코아, 커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곤충사체 및 가구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에서 발생 가능합니다.
(밀폐가 되었다 하더라도 밀폐 이전 알이나 유충이 포함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것 말고도 장기간 보관되는 먹거리가 있을 지 모르니 빠짐없이 점검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발원지를 발견한다면 양이나 비용적인 면을 고려해서
그늘진 곳에서 건조 후 냉장보관을 하거나 폐기를 하시는 것이 빠른 처리를 위해 효과적입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발원지를 제거하더라도
당분간 주변으로 기어 나온 유충이나 성충이 한동안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일일이 제거해야 추가번식을 막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완전히 제어될 때까지는 이들이 발생 할 수 있는 먹이원에 대한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야 합니다.)
답변일 2011.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