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온지 2주됐는데 어제부터 갑자기 몇마리씩 보이기 시작하내요
혹시 빈데같은 해충아닌지 궁금합니다
세스코에서도 처리 가능한지 확인좀부탁드려요
사진 해상도가 낮아 정확히 판별하는 것은 어려운 상태이지만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종류 중 머리대장과, 거저리과, 수시렁이과의 한 곳에 속하는 곤충으로 사료됩니다.
위와 같은 저장식품해충은 쌀을 포함한 곡물 류를 비롯해
1차 가공식품 류인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시리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에서 발생 가능합니다. ㅡㅡ^
이사온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이전 거주지에서 본 적이 없다면
아마도 이전 거주자가 보관하던 유기물에서 발생한 개체가 득실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나 싱크대 내부 등지에 이전 거주자가 놓고 간 물품은 없었지요? (혹시 있었다면 얼른 폐기하세요)
일단 제일 발생 밀도가 높은 지역이 주방이니 주방에 대한 조치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싱크대에 식기류를 포함한 주방 물품을 모두 별도로 보관하도록 하고
싱크대 하단부 가림판을 열어 싱크대 다리가 보이도록 하세요.
1) 빗자루나 행주 등으로 싱크대 상단, 내부, 틈새, 하단부 등에 있는 유기물을 모두 제거하세요.
(작업을 하면서 어디에서 벌레가 많이 보이는 지, 어디까지 퍼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보행해충용 에어졸을 많이 보이는 장소, 싱크대 틈새, 하단부 등지에 살포해 성충과 유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싱크대 주변 천정 몰딩이나 모서리, 창틀을 점검해 유충이나 번데기 또는 성충이 있는지 확인하고
약제 등을 사용해 추가로 제거하세요.
4) 에어졸을 처리했던 장소에 묻은 약제를 중성세제와 걸레로 닦아 내도록 합니다. (처리 후 접촉 시간을 주는 겁니다.)
5) 싱크대에 약제 냄새가 나지 않을 때까지 충분한 환기 이후에 다시 물품을 정리 보관합니다.
꼼꼼하게 했다 하더라도 미처 확인되지 못했거나 약제가 처리되지 않은 곳에서
애벌레나 성충이 또 발생해 목격될 수 있습니다.
이 들은 목격 시마다 제거하는 것이 좋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한 마리도 보이지 않게 될 겁니다.
남아 있는 유충이나 성충이 유기물을 추가 오염 시키고 번식하는 것을 차단해야 하니 유기물 관리에 만전을 기하시고요.
빈대가 아니라서 다행이지요? ^^;
답변일 2012.11.29